-
TEL : 02-450-3922
-
전공사무실 : 산학협동관 607호
-
HOMEPAGE :
교육목표
특수교육전공은 다양한 장애유형과 개별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, 이에 맞는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둔다. 특히 「학생맞춤통합지원법」 추진, 기초학력 보장 정책, 학교 내 맞춤형 지원체제 확대 등 국가적 움직임에 따라, 특수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연결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전문가의 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.
교수소개
직급 | 교수명 | 세부전공 | 연구실 | 연락처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주임교수 | 진석언 | 우수아교육 | 사범대 309 | 450-4132 | jins@konkuk.ac.kr |
교수 | 박수경 | 유아교육 | 사범대 124 | 450-0454 | parksk@konkuk.ac.kr |
외래교수 | 손서영 | 유아특수교육 | 산학 607 | 450-3922 | hon75@konkuk.ac.kr |
외래교수 | Chris Yoon | 우수아교육/특수교육 | 산학 607 | 450-3922 | cyoon@konkuk.ac.kr |
외래교수 | 조무정 | 우수아교육/특수교육 | 산학 607 | 450-3922 | faithcho@konkuk.ac.kr |
교육과정
전공교육과정
교과목 명 | 영문표기 | 학점(시간) | 비고 |
---|---|---|---|
미래사회와 특수교사세미나 | Future Special Education Teacher Seminar | 2(2) | |
장애아동의 이해 | Foundations of Special Education | 2(2) | |
장애학생 통합교육론 | Inclusive Education of Exceptional Children | 2(2) | |
특수교육동향연구 | Research Methods and Trends in Special Education | 2(2) | |
장애영유아 교수방법론 |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| 2(2) | |
특수교육대상 학생진단 및 평가 |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Exceptional Children | 2(2) | |
개별화교육계획 | Individualized Education | 2(2) | |
특수교육공학 |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| 2(2) | |
특수아상담 및 가족지원 | Family Involvement in Special Education | 2(2) | |
자폐성장애 학생교육 | Education for Perso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| 2(2) | |
특수아발달심리 | Development Psychology for Exceptional Children | 2(2) | |
특수체육교육 | Physical Education for Special Students | 2(2) | |
진로 및 전환교육 | Career and Transition Education | 2(2) | |
특수아행동지도 | Positive Behavior Support | 2(2) | |
우수아교육 | Education for the Gifted | 2(2) | |
특수교사론 |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| 2(2) | |
발달지체영유아 조기개입 | Early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Delay | 2(2) | |
지적장애학생교육 | Education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| 2(2) | |
정서·행동장애학생교육 | Education for Persons with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| 2(2) | |
아동행동 및 관찰 | Observation an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| 2(2) | |
특수교육현장이해 | Understanding Special Educational Settings | 2(2) | |
특수교육현장연구 |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al Settings | 2(2) |
교과목 해설
미래사회와 특수교사세미나 | AI 시대에 맞는 특수교육의 교수학습 및 평가 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미래교육의 방향과 윤리적 과제를 탐구함으로써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인성 역량을 함양한다. |
장애아동의 이해 | 특수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과 원리 및 교수 지식을 습득하여 일반교육 현장의 다양한 아동을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. |
장애학생 통합교육론 | 일반교육 환경에서의 장애학생통합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모색한다. |
특수교육동향연구 | 국내·외 특수교육 관련 지식과 활용 사례 및 동향, 특수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명암을 탐색함으로써 연구 역량을 함양한다. |
장애영유아 교수방법론 |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론을 학습하고 발달에 적합하고 효과적인 조기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실제를 학습한다. |
특수교육대상학생진단 및 평가 | 특수아동의 발달을 이해하고 이들의 현행 발달 수준을 평가하여 실제 교수계획에 반영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 |
개별화교육계획 | 특수아동의 교육적 진단 결과에 따른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의 계획과 진행 과정을 살펴보고, 각 단계의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한다. |
특수교육공학 |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교재의 개발과 활용, ICT 활용 교육, 각 장애 영역별 보조공학의 활용과 평가에 관한 기술을 다룬다. |
특수아상담 및 가족지원 | 특수아동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참여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전인적 접근 방법을 살펴보며, 특수아동 가족을 위한 상담 및 교육 능력을 함양한다. |
자폐성장애학생교육 | 자폐 범주성 장애의 원인, 진단 기준, 발달적 특성 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. |
특수아발달심리 | 인간의 성장 과정에서 경험하는 신체, 인지, 정서, 사회적 발달 과정을 이해한다. 각 단계별 변화와 과업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장애아의 발달 특성에 대한 지식을 함양한다. |
특수체육교육 |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체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 지식을 학습한다. 체육과의 교육목표, 내용 영역별 지도, 주요 교수·학습방법, 평가 방법 등을 이해하고,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체육교육 전문성을 함양한다. |
진로 및 전환교육 | 특수아 진로 및 전환교육의 개념, 유형 및 절차와 진로 개발, 직업평가, 직업 재활 정책, 직업훈련 프로그램 등을 연구 검토하여, 이를 바탕으로 각 특수아의 특성 및 요구에 맞는 개별화된 전환 프로그램을 학습한다. |
특수아행동지도 | 장애 학생의 교육적 접근을 위한 행동분석의 이론 및 실제에 대해 연구하고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아동을 위한 긍정적 행동 지원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. |
우수아교육 | 우수아 교육에 관한 세계적 동향을 파악하고 우수아의 특성, 진단 및 판별, 수준별 교육과정, 교수 방법 등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. |
특수교사론 | 특수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특수교사의 자질과 자격 및 역할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특수교사 교육의 방향을 모색한다. |
발달지체영유아조기개입 | 인간 발달 과정의 초기에 해당하는 영유아의 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발달지체 영유아를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. |
지적장애학생교육 | 지적장애의 개념 및 역사적 고찰과 이론을 통해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최선의 교육 실제를 학습한다. |
정서·행동장애 학생교육 | 정서 및 행동장애아의 개념, 특성, 판별, 하위유형 및 교육적 접근 등 정서 및 행동장애 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. |
아동행동 및 관찰 | 아동의 발달과 학습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아동의 행동을 관찰, 평가함으로써 개별 아동의 요구와 특성에 맞게 지도할 수 있는 실제적 능력을 기른다. |
특수교육현장이해 | 국내 특수교육기관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특수교육 현장을 탐방하거나 사례 분석을 하여 실제 교육 현장을 이해한다. |
특수교육현장연구 | 특수교육연구의 일반적 이론과 방법을 익히고, 연구 문제에 적절한 현장연구의 실제를 탐색한다. |